**마라톤(Marathon)**은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만큼 대표적인 장거리 달리기 종목입니다.
많은 이들이 도전의 상징으로 여기는 42.195km의 거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닌, 역사적 배경과 상징성을 지닌 거리입니다.
이 글에서는 마라톤의 기원과 거리의 유래, 경기 규칙, 그리고 현대 마라톤의 의미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마라톤의 역사와 유래
고대 그리스의 전설에서 시작되다
마라톤의 유래는 기원전 490년, 고대 그리스와 페르시아 간의 마라톤 전투에서 시작됩니다.
이 전투에서 그리스군이 승리를 거두자, 병사 **페이디피데스(Pheidippides)**는 마라톤(Marathon) 평야에서 아테네까지 약 40km를 달려가 **“우리가 이겼다!”**라는 승전보를 전하고 숨을 거두었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이 이야기가 훗날 마라톤이라는 경기 종목의 이름이 되었고, 그리스의 영웅적인 희생과 인내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근대 올림픽에서의 부활
마라톤은 1896년 아테네에서 열린 제1회 근대 올림픽에서 공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습니다.
당시 경기는 마라톤 전투지인 마라톤 평원에서 아테네까지 약 40km 거리를 달리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고대 전설을 기리는 상징적 의미가 강했습니다.
2. 왜 42.195km인가?
마라톤이 처음부터 42.195km였던 것은 아닙니다.
원래는 약 40km 내외였으나,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지금의 거리인 42.195km가 처음 등장했습니다.
그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런던의 윈저성에서 시작해
-
올림픽 스타디움의 왕실 박스석 앞에서 끝나는 경로를 설정했기 때문입니다.
이 거리는 이후 몇 차례 조정과 논란을 거쳐,
1921년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에 의해 공식 거리로 채택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3. 마라톤의 기본 규칙
1) 거리
-
공식 거리: 42.195km (26마일 385야드)
-
하프 마라톤: 21.0975km
-
10km / 5km 달리기 등은 마라톤과 구분되는 별도 단거리 경주입니다.
2) 코스 규정
-
국제 공인 마라톤은 **IAAF 또는 WA(World Athletics)**가 공인한 코스를 사용해야 하며,
-
코스는 측정된 거리 오차가 ±0.1% 이내여야 공식 기록으로 인정됩니다.
3) 참가 기준
-
대부분의 국제 대회는 만 18세 이상 참가 가능
-
풀 마라톤은 기록 제한 없이 자유롭게 참가 가능한 일반 참가자 부문과
-
**엘리트 선수 부문(기록 제한 있음)**으로 나뉩니다.
4) 기록 측정
-
전자 칩(타이밍 칩)을 이용하여 정확한 출발·도착 시간 측정
-
**넷타임(Net Time)**과 건타임(Gun Time) 개념 구분
-
건타임: 출발 총성과 함께 시작되는 공식 시간
-
넷타임: 개인이 실제 출발선 통과 후부터 측정되는 시간
-
4. 마라톤의 현대적 의미
1) 도전과 자기 극복의 상징
마라톤은 단순한 운동을 넘어 신체적·정신적 한계를 시험하는 도전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훈련과정에서의 자기관리, 레이스 중의 인내력, 완주 후의 성취감은 참가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깁니다.
2) 건강과 웰빙을 위한 대표 스포츠
장거리 달리기는 심폐 지구력 향상, 체중 감량, 스트레스 해소 등 다양한 건강 효과가 입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문 선수가 아닌 일반인 중심의 대회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3) 사회적·문화적 행사로의 발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열리는 마라톤 대회는 관광, 자선, 도시 홍보 등 다양한 목적을 갖습니다.
예:
-
보스턴 마라톤: 세계 최고 권위의 대회 중 하나
-
베를린 마라톤: 세계 신기록이 자주 나오는 초고속 코스
-
서울마라톤: 아시아 대표 도시 마라톤으로 성장 중
5. 마라톤에 도전하려면?
마라톤 입문자는 아래와 같은 준비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
목표 설정: 풀 마라톤보다 5km → 10km → 하프 순으로 점진적 도전
-
훈련 계획: 주 3~4회 러닝, 체력 및 근지구력 훈련 병행
-
식단 관리: 탄수화물 중심 식사, 수분 섭취 중요
-
장비 준비: 발에 맞는 러닝화, 경량 복장, 타이밍 칩 등 필수
-
마음가짐: 기록보다 중요한 것은 완주와 안전
마무리하며
마라톤은 단순한 달리기가 아니라, 인간의 한계를 시험하고 극복하는 스포츠입니다.
42.195km라는 숫자 속에는 고대의 전설, 근대 스포츠의 역사, 개인의 도전과 성장이 모두 담겨 있습니다.
누구나 뛰어넘을 수 없는 장벽처럼 보이지만,
한 걸음씩 나아간다면 마라톤 완주는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마라톤을 통해 우리는 건강을 얻고, 자신을 발견하며, 인생의 중요한 교훈을 배울 수 있습니다.
0 댓글